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595)
피할수 없는 십자가 (그리스도를 본받아) 그러므로 십자가는 피할 수 없다. 모든 곳에서 당신을 기다리고 있다. 우리가 어디에 가든, 우리가 짊어지기 때문에 십자가로부터 벗어날 수 없으며, 십자가는 우리와 함께 한다. 어디로 향하든지, 위든, 아래이든, 안에서든, 밖에서든, 당신은 십자가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토마스 아 켐피스(Thomas à Kempis: c. 1380–1471), 《그리스도를 본받아》 12장. 십자가의 왕도.어김없이 사순절이 돌아왔다. 종교적 절기로 지나치기엔삶의 주변에 흩어져있는 고통들이 다시금 십자가를 가리킨다.   신학공부 입문을 함께 한 동료 목사님의 사모님이,  아직 험한 세상을 경험하지도 못한 세 아들을남겨두고 주님의 부르심을 받았다.지난 3여 년의 투병 생활은천국과 지옥이 공존하는 시간이었으리라.그 과정을 먼발치..
[소식] 영성나무 2016년 2월 세미나 이종태 연구원이 영성나무 모임에서 C.S. Lewis의 경이의 영성에 관한 논문을 발표합니다. 원래 전공자 세미나 이지만, 모든 이들에게 열려 있다고 합니다. 참고로 〈영성나무〉는 영성적인 목회와 공동체를 지향하는 목회자, 신학생, 평신도의 모임입니다. 아래의 내용은 영성나무 웹사이트(spirituality.kr)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1. 일시 : 2016. 2. 15.2. 장소 : 동교동교회(지하철 2호선 홍대입구 5번 출구)3. 강사 : 이종태 박사 (GTU 영성학)4. 주제 : CS 루이스의 영성5. 시간 : 10:00 개회예배 10:30 - 12:00 오전강좌 12:00 -1:00 식사 6. 대상 : 영성전공자외 모두 * 연초 첫 모임이라 영성나무 회원들은 이 날 연간회비를 준비해주시면 감사하겠..
황혼 속의 〈재의 수요일〉 그리고 〈흰 그림자〉 하늘이 유난히도 맑은 오늘은 우리 민족의 명절인 설날 연휴의 마지막 날이자, 기독교 전통 절기인 사순절이 시작되는 날이다. 사순절은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고 참회하는 40일 간의 기간이며, 그 첫 날인 수요일에는 재를 이마에 바르며 '흙에서 와서 흙으로 돌아가는' 인간의 유한함과 연약함을 되새기는 의식을 행한다. 그래서 이 날을 '재의 수요일(Ash Wednesday)'이라 부른다. 그리고 재의 수요일과 관하여 아마도 가장 유명한 시는 T. S. 엘리어트(Eliot: 1888-1965)의 장편시 〈재의 수요일(Ash Wednesday)〉일 것이다. 흥미로운 것은 일본에서 유학 중이던 윤동주가 애독하던 시 중의 하나가 바로 이 작품이었다고 한다. 윤동주가 어떤 점에서 이 시를 사랑했는지는 알..
윤동주의 〈그 여자〉와 '위안부' 소녀들을 위한 탄원 오늘은 윤동주 시인(1917-1945)의 〈그 여자〉라는 잘 알려지지 않은 시를 함께 읽어 보고자 합니다. 먼저 시인의 육필원고에 있는 그대로, 곧 당시의 맞춤법을 고치지 않고 인용해 보겠습니다. 그여자 함께 핀 꽃에 처음 익은 능금은 먼저 떨어젓슴니다. 오날도 가을바람은 그냥붐니다. 길가에 떨어진 불근 능금은 지나든 손님이 집어갓슴니다. 1937. 7. 26. 겉으로만 보면 가을 풍경의 한 장면을 그린 짧고 평범한 회화적인 시입니다. 그런데 이 시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 함께 읽어야 할 시가 한 편 있습니다. 《윤동주평전》을 쓴 역사학자이자 작가인 송우혜 님은 이 시가 고대 그리스 여류시인 사포(Sappho)의 〈한 처녀〉라는 작품을 패러디한 시라는 것을 밝혀내었습니다. 사포의 작품을 직접 읽어보시..
12. 거룩한 감정, 거룩한 실천 :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앙감정론》 거룩한 감정, 거룩한 실천-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앙감정론》- 오늘을 사는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게 있어 참된 신앙의 본질은 무엇일까? 우리가 우리 자신의 신앙에 있어 진지함을 견지한다면 이 질문을 피해갈 수는 없을 것이다. 조나단 에드워즈(Jonathan Edwards: 1703~1758)는 이러한 참된 신앙의 본질을 진지하게 탐구한 목회자이자 신학자이다. 그는 1703년 10월 5일 미국 코네티컷주 이스트 윈저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도 목회자였지만, 그의 외조부인 솔로몬 스토다드(Solomon Stoddard) 목사는 당시 뉴잉글랜드 지역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목회자였다. 에드워즈는 소년 시절에 아버지가 목회하시던 교회에서 회심을 경험했는데, 이것이 그가 신앙의 세계에 관심을 갖고 몰두하게 된 계기..
인간다움의 회복 : 한 해의 마무리와 시작을 위한 기도 안내 대림절을 시작으로 신앙력은 이미 한 해가 시작되었어요. 새해인 것이죠. 아이러니하게도 세상의 시간은 한 해의 끝자락을 향해 달려갑니다. 신앙력과 세상력의 사이에서, 우리는 전자에 의한 고요한 기다림과 출발보다는 후자가 주는 힘에 더 압도되는 것 같아요. 모임도 많고 마음도 분주합니다. 커다란 박스를 꺼내놓고 12월 31일까지 한 해의 모든 것을 다 쓸어 담고 테잎으로 서둘러 봉인해 버리는 듯합니다. 그리고 1월 1일을 장모가 사위 맞듯 그렇게 가슴만 두근거리는 채 일거리에 쌓여서 정신없이 맞아들입니다. 지난 한 해를 음미할 시간도, 새해를 조용히 가늠해볼 시간도 빼앗긴 채, 우리는 고속도로를 그저 질주합니다. 지나온 길에 대해 조용히 생각하며 방향과 속도를 조정하는, 즉 성찰하는 인간 본연의 모습을 위협..
희망과 사랑처럼 : 대림절 그리고 윤동주의 〈사랑스런 추억〉 대림절(Advent). 기다림의 계절이다. 사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매일 기다린다. 버스나 지하철을 기다리고, 누군가의 전화나 편지를 기다리고, 용돈날이나 월급날을 기다리고, 학교나 직장의 문을 두드리는 이들은 합격 통보를 기다린다. 그 외에 모든 이들은 어떤 좋은 소식을, 또는 그리운 누군가를 기다린다. 그런데 특히 한 해의 마지막이 되면 그 어느 때보다 기다림과 그리움이 깊어진다. 그리고 그 중심에 성탄절이 있다. 저마다 성탄절을 기다리는 이유가 다양하겠지만, 교회에서는 전통적으로 대림절과 성탄절을 과거에 사람의 몸으로 오신 그리스도를 기억하고, 장차 다시 오실 그리스도를 기다리는 때로 삼아 왔다. 그러다보니 ‘오늘’은 ‘어제’와 ‘내일’ 사이에서 늘 소외되어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성탄 절기 속에 ..
[소식] 영성나무 2015년 12월 정기세미나 〈영성나무〉 12월 정기세미나에서 산책길 이주형 연구원이 "동아시아 기독교 영성을 위한 분별과 선택"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합니다. '영성나무'는 영성적인 삶을 지향하는 목회자, 평신도, 학자, 학생들의 모입니다.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영성나무 웹사이트(www.spirituality.kr)나 아래의 내용을 참조하셔서 직접 문의하시면 됩니다. 1. 일시 : 12월 28-29일2. 장소 : 은성수도원3. 주제 : 동아시아 기독교 영성을 위한 분별과 선택4. 강사 : 이주형 박사 (명지대 교목) 꼭 문자로 신청해주셔야 접수가 가능합니다. (신청하지 않고 오실경우 식사와 숙소에 차칠있음) 5. 일정 28일 (월) 오후 3:30-4:00 시작예배4:00 - 5:30 - 세미나 15:30 - 7:00 식사 및 친교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