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138) 썸네일형 리스트형 부활을 믿는다는 것 (비트겐슈타인) 부활을 믿는 것은 사랑이다. -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 (Ludwig. Wittgenstein, 1889-1951), Culture and Value: A Selection from the Posthumous Remains, trans. Peter Wintch (Malden, MA: Blackwell, 1998), 39. "부활은 현 세계 안에서 일어난 매우 독특한 사건이 아니다. (비록 그런 면이 있기는 하지만……) 부활은 원칙적으로 예수님과 함께 탄생하게 되는 새로운 창조 세계의 결정적 사건이다. 우리가 이 새로운 세상에 들어가는 것은 둘째 치고 그것을 잠깐 보기만 하려해도 우리에게는 다른 종류의 앎이 필요할 것이다. 우리를 새로운 방식으로 참여시키는 앎, 객관적 자세로 연구하는 유사 과학 연구의 냉정.. 침묵 기도, 일상 중에 녹여 내기 (3) : 삶을 하나로 묶기 이 글은 높은뜻 정의교회 '기도학교'에서 강의한 내용입니다. 침묵기도를 일상 속에 뿌리내리는 데에 도움이 되시기를 바라며 세 번에 걸쳐서 게재합니다. (1) 기도와 항해, (2) 매일의 기도, (3) 삶을 하나로 묶기 / 주선영 침묵 기도, 일상 중에 녹여 내기(3) 삶을 하나로 묶기 앞선 글에서는 매일의 기도를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에 대해서 말씀 드렸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시리즈의 마지막으로 기도를 통해 삶을 하나로 묶는 것에 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삶을 하나로 묶기 헨리 나우웬은 현대 신앙의 위기는 신앙 체험이 없는 것이 아니라, 체험이 피상적이고 연속성이 결여되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삶이 단절된 것이 아니라 연속되며 깊은 차원이라는 것을 구체적으로 경험하려면, 침묵 기도로 형성된 내적인.. 침묵 기도, 일상 중에 녹여 내기 (2) : 매일의 기도 이 글은 높은뜻 정의교회 '기도학교'에서 강의한 내용입니다. 침묵기도를 일상 속에 뿌리내리는 데에 도움이 되시기를 바라며 세 번에 걸쳐서 게재합니다. (1) 기도와 항해, (2) 매일의 기도, (3) 삶을 하나로 묶기/ 주선영 침묵 기도, 일상 중에 녹여 내기(2) 매일의 기도 앞선 글에서는 우리의 삶은 배가 항구를 떠나 하나님이라는 목적지로 향하는 항해와 같다고 말씀 드렸습니다. 그리고 매일 아침 눈을 뜨자 마자 이부자리에 앉아서 5-10분 정도 이렇게 자기 삶의 방향, 즉 목적지에 맞게 배의 항로를 확인하는 작업을 하시기를 권해드렸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매일의 기도를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1. 언제 : 삶의 리듬과 갈망 매일 아침, '배의 항로'를 확인하는 작업을 하면서.. 침묵 기도, 일상 중에 녹여 내기 (1) : 기도와 항해 이 글은 높은뜻 정의교회 '기도학교'에서 강의한 내용입니다. 침묵기도를 일상 속에 뿌리내리는 데에 도움이 되시기를 바라며 세 번에 걸쳐서 게재합니다. (1) 기도와 항해, (2) 매일의 기도, (3) 삶을 하나로 묶기/ 주선영 침묵 기도, 일상 중에 녹여 내기(1) 기도와 항해 삶, 항해 우리 삶은 한 척의 배가 이쪽 항구에서 떠나 저쪽 항구로 항해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 배는 목적지가 있습니다. 도착해서 닻을 내려야할 항구가 있고, 그 항구를 향해 방향을 조정하면서 망망대해를 가로지릅니다. 우리 인생, 삶이라는 이 배의 목적지는 어디일까요? 목적지, 하나님 성 아우구스티누스(Saint Augustinus)는 “당신은 우리를 당신을 향해서 살도록 창조하셨으므로 우리 마음이 당신 안에서 쉴 때까지는 편안하.. 기도 중에 만나는 도움 (N.T. 라이트) 우리 현대인들은 무엇이든 자기 자신만의 방식으로 해야 한다는 강박이 있는 것 같다. 심지어 기도할 때에도, 잘 쓰여진 기도문으로 기도하기를 주저한다.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이 기도문을 가지고 하는 기도는 “진실한” 기도라고 보기 어렵고, 기도자의 마음 속에서 우러나오는 기도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 이는 낭만주의 운동과 실증주의의 지속적인 영향이 우리의 내면 세계를 위축시킨 탓이다. — [개인의 내면적 주관적 감정만을 믿을 만한 것으로 여기려는] 낭만주의 운동과 [실험을 통해 입증 가능한 것만을 진리로 받아들이려는] 실증주의의 성향은 서로 합세하여, 우리의 마음(감성)에서 임의적이고, 자발적이고, 즉흥적으로 나오는 것만을 진실된 것으로 여기려는 관념을 만들어 냈다.- N. T. Wright (1948- .. 위대한 영적소명은 연대하는 인간이 되는 것이다. 위대한 영적 소명은 남들과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남들과 동일한 실체와 존재가 되는 것, 남들과 하나가 되는 것임을 나는 드디어 깨달았다. 조금이라도 튀어 보일까싶어 삶의 주변부를 헤매고 다니는 것이 아니라 중심부로 들어가는 것이 나의 소명이다. 거기서 모든 인간과 연대하게 된다.- 헨리 나우웬(Henri Nouwen, 1932-1996), 《두려움에서 사랑으로》(서울: 두란노, 2011) , 142. 방법 없는 사랑 사랑의 방법 때문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는가. 방법을 가진 사랑은 사랑이 아니다. 우리는 이미 사랑 속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성복 방법은 나를 구현하는 도구다. 그러나 방법이 고착되면 나는 도구에 묶여버린다. 사랑 또한 그러하다. 서로 사랑해서 서로를 힘들게 하는 경우를 나 자신뿐아니라 많은 이들에게서 본다. 방법을 가지지 않은, 아니 항상 새로운 방법을 가지는 사랑이 진짜 사랑이다. 만물보다 먼저 계신 성자 하나님은 사랑의 방법을 찾다 찾다 성육신을 통해 나사렛 예수가 되셨고, 나사렛 예수는 사람들의 편견 속에 새로운 사랑의 방법으로 십자가의 예수가 되셨으며, 무력한 예수는 새로운 사랑의 방법으로 부활의 주가 되셨고 부활의 주는 늘 함께하는 사랑을 위해 승천의 주가 되셨다. / 유재경 토마스 머튼의 <동생을 위해> 그리고 4월 16일 2014년 4월 16일, 고난주간 수요일, 세월호가 조난당하고 삼백 여명의 꽃다운 생명이 바닷속에 잠겼다. 1943년 4월 16일, 고난주간 금요일 밤, 토마스 머튼의 동생 존 폴 머튼이 영국 해협에서 조난 당하고, 다음날 이른 새벽 바다 위에서 숨을 거뒀다. 존 폴 머튼(John Paul Merton, 1918-1943)은 당시 캐나다 공군 소속으로 제2차 세계대전에 참가하고 있었다. 그런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그가 탄 비행기가 고도를 잃고 바다에 추락했고, 그 충격으로 그는 척추가 부러져 버렸다. 함께 탑승하고 있던 동료 두 명이 그를 간신히 고무보트로 끌어 올렸지만, 그는 세 시간 정도 갈증 속에서 버티며 기도하다가 끝내 숨을 거두고 말았다. 그의 동료들은 구조를 기다리며 바다 위를 표류하다가 표류 ..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