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589)
세 가지 상처 (노리치의 줄리안) 나는 사는 동안 세 가지 상처를 받기를 간절히 원했습니다. 참된 통회라는 상처, 깊은 동정이라는 상처, 그리고 하나님 향한 갈망이라는 상처. 노리치의 줄리안(Julian of Norwich: ca.1342 – ca.1416),《하나님 사랑의 계시 Showings》, LT, ch. 2.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열여섯 가지 계시'를 체험하고서 평생을 잉글랜드 노리치의 한 교회 부속건물에서 은수자(anchoress)로 살았던 여인 줄리안. 그녀가 1373년 '계시'(showings)를 보기 전에 늘 하나님께 구했던 것이 있었다. 바로 "세 가지 상처"를 지니고 살게 해달라는 기도였다. '통회'(contrition)라는 상처, '동정'(compassion)이라는 상처, (하나님을 향한) '갈망'(yearning..
독립적인 그리스도인 (퀘이커) 당시 폭스는 침묵에 관해 가르쳤으며 사람들 안에 있는 그리스도의 빛에 대해 증거하고 그 빛 가운데로 인도하였으며, 각자 마음 속에서 그리스도의 빛의 능력이 일어나는 것을 느끼도록 참고 기다리라고 사람들을 격려했다……그는 모든 사람을 각각의 신조와 예배에 억지로 순종을 하도록 강요받지 않고 독립적인 사람으로 만들려고 했다. 사람들은 보편적인 원칙, 즉 각자의 내면의 빛을 통해 영적인 연합에 이르게 되는데, 이 영적인 연합이란 동일한 원칙에 인도함을 받는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도달하는 것이었다. 윌리엄 펜 (William Penn 1644-1728), 《조지 폭스의 일기》의 서문에서 발췌. 퀘이커의 예배에 참여해보았다. 보기(See) 위해 참여(Participate)한 것이다. 아무런 찬송도, 어떤 의식도 없..
경건: 퇴계와 깔뱅의 만남 경건이란, 곧 하나님이 베푸시는 온갖 유익들을 아는데서 생겨나는 바,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과 그를 향한 사랑(love for Him)이 하나로 결합된 상태를 뜻한다. (기독교강요 I. 2. 1). 경건한 사람이 해야 할 일은 많지만, 항상 다른 형제들을 위해서 그 일들을 행해야 한다. 경건을 우리의 선의와 친절을 보여주는 방법으로 삼자. (기독교강요 III. 7. 5). 쟝 깔뱅 (John Calvin, 1509-1564) 《기독교강요》 유교가 공자의 전유물인 양 인식되지만 사실 아시아에 영향을 끼친 유교는 주자의 것이다. 그러나 한국의 그것은 주자의 것도 아니다. 정도전이 애써 그 명맥을 유지하려 했지만 조선 중기부터 현대에까지 영향을 끼치는 우리 나라의 유학은 퇴계 이황의 것이다. 퇴계 유교의 영향 ..
담대한 간구 (하나님 임재 연습) 우리는 온전히 담대하게 하나님의 은혜를 구해야 합니다. 우리의 생각들에는 관심을 버리고, 주님의 끝없는 공로만을 의뢰하면서 말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언제나 기회가 있을 때마다 그분의 은혜를 허락하십니다.- 로렌스 형제 (Brother Lawrence of the Resurrection: c. 1614-1691), 《하나님 임재 연습》,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Fourth Conversation) 그리스도인도 담대히 은혜를 구하는 것을 잊어버릴 때가 많다. 하나님과의 동행을 지향하면서도, 환난과 시험 가운데에서는 스스로 해결해나가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다. 마치 다른 사람들에 대해 도덕적으로 완전한 모습을 보여주려 하듯, 스스로 깨우치고 해결한 뒤에야 주님을 만나..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전기 역사를 통틀어 (성서 기자들을 제외하고)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e of Hippo, 354-430) 만큼이나 유명한 기독교 저자가 또 있을까? 진리 찾아가는 한 영혼의 영적 여정을 담은 그의《고백록》은 약 1600여 년 동안 수많은 이들을 자신과 같이 영적 여정에 오르도록 격려해왔고, 서구 문학에서 '자서전'(Autobiography)이라는 장르의 효시가 되는 작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인물에 관한 좋은 평전이 최근에 한국에서 새롭게 번역 출간 되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자서전이 자신의 내적 여정과 회심 과정을 1인칭으로 이야기한 고백이라면, 아우구스티누스에 관한 피터 브라운의 평전은 어거스틴의 삶과 사상을 후기 로마시대라는 사회 역사적 상황을 고려하여 제3자의 관점에서 전체적으..
하늘로 가득한 땅 하늘로 가득한 땅, 떨기마다 하나님으로 불붙어 있건만. 오직 눈 밝은 이만이 그 앞에서 자기 신을 벗나니... Earth’s crammed with heaven, And every common bush afire with God; But only he who sees, takes off his shoes, - Elizabeth Barrett Browning, 'Aurora Leigh' - "네가 선 곳은 거룩한 땅이니 네 발에서 신을 벗으라."(출 3:5)
조선에서의 추수감사절의 유래 (길선주) 어두운 죄 가운데서 밝은 새 소망으로, 사망에서 생명으로, 파멸에서 건설로 우리의 살림을 개척한 이날이야 말로 감사일이라고만 하기에 저로서는 오히려 불만족한 느낌이 있습니다. (중략) 어쨌든 우리로서 기억할 것은 우리가 받은 바 하나님의 무한하신 은혜를 감사하며 은혜의 복음이 우리에게 들어온 그때를 기념함이야말로 우리의 가장 크 기쁨입니다. 길선주 (1869-1935), "추수감사일의 조선 유래와 그 의의," 《길선주》(서울: 홍성사, 2008), 169-75. 미국은 오늘 추수감사절(Thanksgiving Day) 전야이다. 한국에서도 매년 11월 셋째 주일이면 교회마다 당연하게 '추수감사주일'로 지키고 있지만, 한국교회 초기에는 추수감사절은 낯선 서양의 풍습이었다. 1931년 10월 《종교교육》이라는..
메멘토 모리 (그리스도를 본받아) 곧 죽음을 목전에 두고 있는 사람처럼 행동하고 생각하라. 부끄럽지 않게 살았다면 죽음이 두렵지 않을 것이다. 죽음으로부터 도망치려 하지 말고 죄로부터 도망쳐라. - 토마스 아 켐피스(Thomas à Kempis: c. 1380–1471), 《그리스도를 본받아》, book.1, ch.23. 영성가들은 언제나 우리에게 "죽음을 기억하라"(memento mori)고 말한다. 죽음을 기억(re-member)한다는 것은, 보기 싫어 멀리 내쫓아버린 죽음을 다시(re) 나의, 내 삶의 일부(member)로 받아들여 자주 들여다보며 생각한다는 것일 것이다. 죽음에 대해 자주 생각해보는 것은 건강하지 못한, 병적인 태도가 아닐까? 토마스 수사는, 그 반대가 진실이라고 말한다. 죽음 생각이 싫은 것은, 죽음이 그저 두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