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595)
계산해 낸 공감과 믿음의 허상 (C. S. 루이스) 내가 만일 (내 생각처럼) 세상의 슬픔에 대해 진정으로 염려하였다면, 나 자신에게 슬픔이 닥쳐왔을 때 이처럼 압도되지 않았을 것이다. 상상 속 내 믿음은 ‘질병’, ‘고통’, ‘죽음’, ‘외로움’ 등으로 이름 붙여진 가짜 돈으로 계산놀이를 하고 있었던 것이다. 나는 밧줄이 나를 지탱해 줄지 어떨지 문제가 되지 전까지는 그 밧줄을 믿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제 그것이 문제가 되자, 믿고 있지 않았음을 깨닫는다. - C.S. 루이스, 강유나 옮김.《헤아려 본 슬픔》 홍성사, 61.그리스도인들은 세속적 행복을 경계하라는 도전을 받는다. 세속적 성공에는 어떤 함정이, 반면에 고난에는 숨겨진 영광이 있다는 메시지를 듣는다. 주님의 말씀을 통해 보건데, 순례자들에게 고난은 ‘영적 여정(spiritual journey..
가난과의 동행 (로욜라의 이냐시오) 1544년 2월 6일. 수요일미사 시작 전부터, 헌신과 눈물을 드릴 때, 고정된 수입 없는 공동체에 대한 (나의) 마음이 더 공고해지고 있는 것을 느낀다. 보다 뚜렷해지고 있는 것은, 일반적인 방식과 다르게, (예수회 공동체를 위해) 고정된 수입을 추구하는 선택은, 혼선을 일으키고, (공동체 일원) 모두에게 불명예일 수 있으며, 우리 주 하나님을 온전히 찬양하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가난을 경시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 로욜라의 이냐시오(Ignatius of Loyola: 1491-1556), "the Procedure of Election" in Selection from the Spiritual Diary (New York: Paulist Press, 1991), 239. 수많은 젊은이들이 비정..
말의 마법과 예언 (토마스 머튼) '말의 마법'을 독실하게 믿는 사람은 시인이 아니라, 상인과 선전원(propagandist)과 정치인입니다. … 우리 [시인들도 그들처럼] 이 마법을 이해할 수 없는 다른 갖가지 변종[표현]들로 조롱하고 패러디합시다. 만약 원한다면 말이지요. 그러나 조롱하는 것보다 훨씬 더 좋은 것은 예언하는 것입니다. 예언하는 것은 앞으로 일어날 일을 미리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예언은 현실을 붙잡는 것입니다. 현실에 존재하는 새로움을 향한 최상의 기대와 긴장의 순간 속에서 말입니다. - 토마스 머튼(Thomas Merton: 1915-1968), "Message to Poets" in The Literary Essays of Thomas Merton (NY: New Directions, 1981), 473. 머튼이 ..
잘못된 영성 훈련의 병증 (귀고 2세의 <수도승의 사다리>) 묵상 없는 독서는 건조하며 독서 없는 묵상은 오류에 빠지기 쉽고, 나아가 묵상 없는 기도는 미지근하며 기도 없는 묵상은 결실이 없는 것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겠습니다. 정성들인 기도는 관상을 얻게 해주며, 기도 없는 관상의 선물은 드물고 기적에 가까운 것이라 하겠습니다. - 귀고 2세(Guigo II: ?-1188), , 엔조 비앙키 지음, 이연학 옮김 《말씀에서 샘솟는 기도》(왜관: 분도, 2010), 154-55에서. 귀고 2세는 12세기 카르투지오 수도회의 원장을 지낸 분이다. 카르투지오 수도회는 베네딕트 규칙서를 엄격하게 지키기 위해 11세기에 설립된 수도회이다. 몇 년 전 개봉되어 인구에 회자된 적이 있는 다큐멘터리 은 이 수도회의 일상을 다룬 것이다. 봉쇄 수도원의 깊은 침묵이 분주한 현대인들의..
'하고 싶다' 추석 연휴가 정신없이 흘러갔다. 태풍이 한바탕 휘몰아치고 지나간 것 같다. 약간 멍하고, 졸음 때문에 무거운 눈꺼풀을 껌벅이면서 책상 앞에 앉아있다. 흐트러진 감각을 옷매무새 정리하듯 가다듬으려면 시간이 좀 필요하겠다. 일상의 삶에서 침묵기도를 뿌리내리는 것이 무척 힘들었다. 지금도 여전히 고군분투한다. 잠을 근간으로 하는 몸 상태, 결혼과 육아의 살림살이, 교회의 일반사역과 영적지도 사역, 개인 공부, 기타 사회활동 등의 요소 속에 하루 1시간 이상의 침묵기도와 성찰을 자연스럽게 녹여내기가 쉽지 않았다. 도반들의 경우를 살펴봐도 9-10개월짜리 일상에서의 영신수련이라고 일컫는 ‘19번 피정’을 어떻게 해냈을까 싶을 만큼, 매일매일 침묵기도를 꾸준히 수행하는 것이 훨씬 더 어렵다고 한다. 교회의 영성 훈..
함께 사는 이유 (가이사랴의 바실) 그러나 홀로 수도하는 것은 개인의 필요를 위한 봉사에만 관여할 뿐이다. 이것은 사도들이 성취한 사랑의 법에 분명히 반대된다. 자신이 아니라 구원받을 영혼들의 유익을 구한 사도들의 그 사랑에 반한다. - 가이사랴의 바실 (Basil the Great: c. 330?-379), 《수도 규범(The Long Rules)》, 7. 카이사르의 감독이었던 바실은 삼위일체 교리의 정립 뿐 아니라 수도원 운동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그는 독거하며 과도한 금욕을 추구하는 것 대신에 공동의 수도 공동체를 그의 수도원 운동으로 제시하였다. 그 까닭은 극단적인 금욕 수도에 대한 회의 때문만은 아니었다. 도리어 그보다는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이라는 이중의 사랑을 행하는 데에는 독거보다는 공동 생활이 더 적합하다는 판단 때문이었..
믿음과 소망과 사랑 (노리치의 줄리안) 하지만 이런 느낌은 잠시만 지속되었고, 모든 것이 달라졌다. 난 슬픔 속에 홀로 남겨졌다. 삶의 권태가 몰려왔고, 나 자신이 싫어졌고, 살아갈 힘도 잃어버렸다. 믿음과 소망과 사랑만이 유일한 위안과 위로였다. 난 그것들을 붙들었다. 느낌은 거의 없었음에도. 노리치의 줄리안 (Julian of Norwich: 1342 – c.1420),《하나님 사랑의 계시 Showings》, LT, ch. 15. "이런 느낌"이란 줄리안에게 찾아온 더없이 큰 영적 기쁨과 확신과 평화를 가리킨다. 하지만 줄리안에게도, 그런 느낌은 일시적인 것에 불과했다. 삶과 신앙의 토대는 믿음과 소망과 사랑이며, 믿음과 소망과 사랑은 '느낌'이 아니다. 느낌의 세계보다 더 깊은/높은 세계로 들어가게 해주는 성령의 움직임이며, 성령의 움직..
영적 분별을 위한 규칙 1: 쾌락은 위안인가 유혹인가 (로욜라의 이냐시오) 규칙 1: 대죄(mortal sin)에서 대죄로 나아가는 사람들에게 원수는 노골적인 쾌락을 제시하고, 감각적인 쾌락과 즐거움을 상상하도록 하여서 악덕과 죄들을 유지하고 더욱 키워가게 한다. 이런 사람들에게 선한 영은 이성의 분별력으로써 양심을 자극하고 가책을 일으키는 등 정반대의 방법을 쓴다. - 로욜라의 이냐시오(Ignatius of Loyola: 1491-1556) 지음, 정제천 옮김, 《영신 수련》, no. 314. 로욜라의 이냐시오는 수많은 영적 경험들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우리 영성 생활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영적 분별(discernment of spirits)의 원칙을 정립했다. 영적 분별이란 우리의 “심정의 여러 변화들을 어떤 식으로든지 느끼고 알아차려서 선한 것들은 받아들이고 나쁜 ..